Develop167 [linux] Name Server 구축 저번 포스팅에서 네임서버에 대해 설명드렸었다. devkingdom.tistory.com/210?category=834848 [Linux] Name Server 란? 흠... CentOS가 더이상 배포되지 않느다니 충격이다.. ㅜㅡㅜ 이제 ubuntu 로 넘어가야겠다 그래도 회사에서는 redhat리눅스를 쓰니.. ㅎㅎㅎ 공부할겸 dns 서버를 만들어 봤다. dns 서버는 Domain Name System devkingdom.tistory.com 본인의 pc에서VMWare로 서버를 만들면 , 바라보는 네임서버는 Default 로 로컬 네임 서버 (192.168.111.2) 로 세팅되어 설정 된다. 그런데 보통 기업에서는 네임서버를 따로 구축해서 세팅해놓곤 하는데, 우리도 ... 비슷한 환경을 설정해두고 한번.. 2021. 1. 14. [Linux] Name Server 란? 흠... CentOS가 더이상 배포되지 않느다니 충격이다.. ㅜㅡㅜ 이제 ubuntu 로 넘어가야겠다 그래도 회사에서는 redhat리눅스를 쓰니.. ㅎㅎㅎ 공부할겸 dns 서버를 만들어 봤다. dns 서버는 Domain Name System 서버의 줄임말로 그냥 네임서버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리가 웹브라우저에서 다음을 접속할때 http://www.naver.com 이런식으로 url을 을 입력해서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런 url로 특정 서버에 접근하려면 이 url을 서버 컴퓨터의 ip로 변환시켜줘야한다. 이 일을 해주는게 바로 dns 서버이다. 네트웍상에서 사용되는 모든 컴퓨터는 고유의 ip가 있다. 그런데 이 ip를 이용해 컴퓨터에 접속하는건 서버-서버 간 통신을 하거나 하는 등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2021. 1. 13. [JPA] DB연동을 위한 환경 세팅 하이 ~~ 오늘은 이전에 만들어 뒀던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 DB연동을 위한 세팅을 한번 해볼꺼다. (이전 글 보러가기) devkingdom.tistory.com/206?category=761188 [JPA] SpringBoot 에서 JPA 개발 환경 세팅하기 하이하이 오랜만에 개발관련 글을 써보려고한다. 오늘은 Springboot에서 JPA 개발환경 세팅하는걸 한번 해볼꺼다.ㅎㅎ 재밌게 잘따라해보길~~ 사전에 준비해줘야할 것은 intellij를 설치해주는 것이 devkingdom.tistory.com 오늘은 아주 간단하게 설치 가능한 H2 디비를 가지고 연동을 해볼꺼다. 뭐 여러분 좋으실대로, 오라클을 연동해도되고 MySQL을 연동해도 상관은 없다. 일단 H2 디비 부터 설치 해보자. www.h2dat.. 2021. 1. 3. [SpringBoot] Thymeleaf 와 jsp 비교 분석 java 기반의 서버 프레임워크를 공부하다보면 jsp 라는 녀석을 쓰게된다. jsp는 일반적인 자바 프레임워크 MVC 구조에서 V , 즉 뷰 역할을 담당하는 녀석이다. 요즘 스프링 부트 공부를 하면섬 Thymeleaf라는게 있다는 것을 알았다. 요즘 스프링에서 밀고있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뷰라고 보면 될것같다. Thymeleaf 이외에도 Apache Freemarker, Mustache, Groovy Templates 등 여러 템플릿 엔진이 있지만 요즘은 Thymeleaf를 많이 쓰는 것 같다 ( JSP는 옛날 회사에서는 아직도 많이 쓴다) 자 아무튼 오늘은 Thymeleaf와 jsp 차이점을 알아보고, 그리고 간단하게 Thymeleaf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하자 먼저 jsp 의 경우에는 다들 아시.. 2021. 1. 2. [JPA] SpringBoot 에서 JPA 개발 환경 세팅하기 하이하이 오랜만에 개발관련 글을 써보려고한다. 오늘은 Springboot에서 JPA 개발환경 세팅하는걸 한번 해볼꺼다.ㅎㅎ 재밌게 잘따라해보길~~ 사전에 준비해줘야할 것은 intellij를 설치해주는 것이다. 나는 설치되어있으니 패스하겠다. intellj에서 이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만들어내는 방법도 있지만, 오늘은 아래의 링크에서 프로젝트를 한번 만들어 볼것이다. start.spring.io/ 위의 링크를 눌려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프로젝트의 경우 Maven 이나 Gradle 중 하나를 선택해서 만들면되는데 요즘은 보통 Gradle을 많이 사용하니깐 Gradle로 만들어보겠다. 자 위처럼 본인이 편한대로 데이터를 채워주면되는데. Dependecies를 나처럼 저렇게 5개.. 2021. 1. 2. [Server] SSH 서버 구성하기 이전 포스팅에서 telnet 서버 구성을 다뤘었다. devkingdom.tistory.com/199 [Server] CentOS에서 telnet 서버 만들기 하이 ~! 오늘은 텔넷서버를 한번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원격지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니 잘 숙지해두도록하자. 텔넷 서버는 아래의 서버 구축과정을 거쳐서 진행될 devkingdom.tistory.com 오늘은 OpenSSH 서버를 구성해볼것이다. 이 서버는 텔넷서버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만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패킷을 암호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위와 같은 서버를 실제로구축해보자. 먼저 아래 명령어를 쳐서 SSH 서버의 설치 유무를 확인하고 가동여부를 확인해보자. rpm -qa openssh-server systemctl stat.. 2020. 11. 5. [Server] CentOS에서 telnet 서버 만들기 하이 ~! 오늘은 텔넷서버를 한번 설치해보도록 하겠다. 원격지에서 리눅스 서버에 접속하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니 잘 숙지해두도록하자. 텔넷 서버는 아래의 서버 구축과정을 거쳐서 진행될 것이다. 먼저 리눅스에 텔넷 서버를 설치한 뒤에 기동해보자. 일단 부팅후 root 사용자로 접속하고 터미널을 하나 열어서 아래 명령어를 통해 텔넷 서버를 설치해주자. yum -y install telnet-server 설치가 완료되고 나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가 정상적으로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rpm -qa telnet-server 위의 명령어를 치면 나오지만, 저렇게 풀로 패키지명을 외울수는 없기에 grep 명령어를 사용할수도 있다 (grep 명령어는 실무에서 정말 많이 사용하는 명령어다) rpm -qa | ge.. 2020. 10. 30. [Linux] 쿼터를 활용한 사용자 공간 할당하기(2) 지난 포스팅에서 쿼터를 사용해보기 위해 사용자를 만들고 또 쿼터 전용으로 디렉터리를 마운트 시켜봤었다. (지난 포스팅 보러가기) devkingdom.tistory.com/197 [Linux] 쿼터를 활용한 사용자 공간 할당하기(1) 리눅스는 보통 구축해놓으면 서버로 사용하기에 한명의 사용자가 아닌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한다. 그래서 모두가 root 를 바라보고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면 하드디스크가 꽉차버려서 시스템 devkingdom.tistory.com 오늘은 쿼터를 사용하기 위한 쿼터 DB를 만들고 사용자에게 사용량을 할당해줘볼려고 한다. 먼저 쿼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쿼터 DB를 만들어 줘야하니 이것 부터 해보자. 먼저 이전에 마운트 했던 디렉토리인 /userDev로 이동하고 일단 생성전에 쿼터를 꺼주.. 2020. 10. 26. [Linux] 쿼터를 활용한 사용자 공간 할당하기(1) 리눅스는 보통 구축해놓으면 서버로 사용하기에 한명의 사용자가 아닌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한다. 그래서 모두가 root 를 바라보고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면 하드디스크가 꽉차버려서 시스템 전체가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여러명이 동시에 하드디스크를 읽고 쓴다면 이는 성능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런 상황을 대비해서 사용자별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을 제한해야 한다. 쿼터 쿼터는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갯수를 제한하는 기술이다. 각 사용자마다 별도의 파일 시스템을 지정해주고 지정한 부분만 사용하게 하면 파일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개인별 쿼터 설정은 1) /etc/fstab 수정 (/etc/fstab 옵션 부분에 쿼터 관련 부분을 추가) 2) 재부팅.. 2020. 10. 23.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