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elop/Server

[Linux] 쿼터를 활용한 사용자 공간 할당하기(2)

by 코딩의성지 2020. 10. 26.

지난 포스팅에서 쿼터를 사용해보기 위해 사용자를 만들고 또 쿼터 전용으로 디렉터리를 마운트 시켜봤었다.

 

(지난 포스팅 보러가기)

devkingdom.tistory.com/197

 

[Linux] 쿼터를 활용한 사용자 공간 할당하기(1)

리눅스는 보통 구축해놓으면 서버로 사용하기에 한명의 사용자가 아닌 여러명의 사용자가 사용한다. 그래서 모두가 root 를 바라보고 파일시스템을 사용하면 하드디스크가 꽉차버려서 시스템

devkingdom.tistory.com

오늘은 쿼터를 사용하기 위한 쿼터 DB를 만들고 사용자에게 사용량을 할당해줘볼려고 한다.

 

먼저 쿼터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쿼터 DB를 만들어 줘야하니 이것 부터 해보자.

먼저 이전에  마운트 했던 디렉토리인 /userDev로 이동하고

 

일단 생성전에 쿼터를 꺼주자

quotaoff -avug

 

다음은 파일 시스템의 쿼터 관련 체크를 한뒤, 생성된 쿼터 관련 파일을 우선 삭제해주자.

quotacheck -augmn
rm -rf aquota.*

 

다사 파일 시스템의 쿼터 관련 체크를 해주고, 쿼터 관련 파일을 생성해주자.

quotacheck -augmn
touch aquota.user aquota.group

 

다음은 보안을 위해 root 이외에 접근을 불허하고 , 파일 시스템의 쿼터 관련 체크를 마지막으로한 뒤 설정된 쿼터를 시작해주면 된다. 그럼 db가 생성된다.

chmod 600 aquota.*
quotacheck -augmn
quotaon -avug

 

위에서 quotacheck 명령어를 치면 어떤 일도 안일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명령어는 하드디스크를 스캔해서 여러가지 부분을 체크해준다. 또 quotaoff 와 quotaon 명령어는 각각 쿼터를 끄거나 켜는 기능을한다. 옆에 옵션들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a : 모든 파일시스템 체크

-u : 사용자 쿼터 관련 체크

-g :  그춥 쿼터 관련 체크

-m : 재마운트 생략

-n : 처음 검색된 것 사용

-p : 처리결과 출력

-v : 파일 시스템 상태 확인 

 

다음은 ls -l 명령어를 이용해서 쿼터 db 가 잘 생성됐는지 보자.

잘 생성된 것을 확인 했다.

 

다음은 각 사용자별로 공간을 할당해주자. kang이라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10MB 정도 할당해주는것을 해볼꺼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사용자 별 혹은 그룹 별 할당량을 편집하자.

edquota -u kang

위의 명령어는 vi 명령어랑 비슷한데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다.

위의 내용을 해석해보면 Filesystem은 앞에서 /etc/fstab 파일에 /dev/sdb1을 쿼터로 설정했던걸 의미한다.

 

그리고 blocks, soft, hard 는 블록 소프트, 하드에 대한 사용한도를 의미한다. 현재는 blocks 에만 28이 할당 되어 있으니 지금 kang이라는 사용자가 28KB를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이건 헷갈릴수 있는데 soft 와 hard가 0인데 이건 사용한도가 0이라는 의미가 아니라 한도를 제한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니 헷갈리지 말자. 즉 kang이라는 사용자는 용량에 제한없이 파일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따는 의미이다.

그리고 inodes, soft, hard는 용량이 아닌 갯수를 의미한다. 즉 kang은 현재 7개의 파일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미이며 soft, hard 모두 갯수에 제한이 없는 것이다.

 

자 이제 용량을 제한해보자. soft 에 10MB(10240KB), hard에 20MB(20480KB)로 제한을 하려고한다.

vi 사용하듯 i 나 a를 입력해서 편집하고 wq로 저장해주면된다.

 

다음은 kang으로 로그인하고 할당된 공간을 확인해보자.

다음은 마지막으로 root에서 사용자별 현재 사용량을 확인해보자

 

자... 따라하긴 뭔가 복잡해보이지만 차분하게 해보시면 이해가 되실거다 ㅎㅎ 꼭 실습해보도록하자.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만 작성하도록 하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