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 ..! 저번에 RAID 관련해서 설명을 한 포스팅을 했었다.
오늘은 Linear RAID 부터 RAID 0, RAID1, RAID5 까지 설치를 해보려고한다.
Linear RAID
먼저 Linear RAID 부터 구축하자.
아래와 같이/dev/sdb, /dev/sdc에 장착한 하드디스크를 두개 묶어 Linear RAID 로 구축해볼 것이다.
진행할 프로세스는 아래와 같다. Linear RAID나 LAID 0, 1 ,5 다 방법은 비슷하니 이거 하나만 제대로 한번 해보면 다 쉽게 구성할 수 있을 듯 하다.
일단 위의 그림대로 해보기 위해서 디스크부터 장착해보자. 얼마전에 내가 단일 디스크를 장착하고 마운트 하는 것을 보여드린적이 있다. 안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한번 보고 오자.
https://devkingdom.tistory.com/177
[Linux]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feat. VMWare)
서버를 운영하다 보면 항상 서버 증축에 대한 고민을 해야한다. Memory 를 증설할 때도 있고 , CPU 코어 를 신규로 추가할 때도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서버 노드 자체를 신규해버릴 때도 있다. 또 �
devkingdom.tistory.com
저번에도 해봤지만 복습할겸 디스크 장착하는걸 한번더 보여드리겠다.
먼저 디스크를 추가할 서버를 선택하고,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로 들어가자.
아래에 Add 버튼을 눌려주자.
Hard Disk를 선택한 뒤 , Next ..
그대로 SCSI를 선택하고
Create a new virtual disk 체크하고 Next!
디스크 크기는 2기가로 잡아줬고 저장하는 방식은 나는 싱글파일로 저장해주는 걸 선택했다.
여기서 디스크 파일의 이름을 정해주는데 나는 보통 SCSI 슬롯 명을 따서 정해둔다.
그리고 2기가 짜리말고도 1기가 짜리도 하나더 만들어주고 서버를 실행하면 아래처럼 2개의 하드디스크가 더 생기는 것을 볼수 있을것이다.
또 터미널 창으로 접속해서 SCSI 장치가 /dev 디렉토리에 잘 있는지 확인해보면 아래처럼 두개의 디렉토리가 더 생겨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자 이제 본격적으로 Linear RAID 를 세팅해보자.
먼저 fidsk 명령어를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RAID 용 파티션으로 만들어보자.
#fdisk /dev/sdb -> [SCSI 0:1] 의 하드디스크를 선택함
Command : n -> 새로운 파티션으로 분할 함
Select : p -> Primary 파티션 으로
Partition number : 1 -> 파티션 번호 1번 선택
First sector : Enter -> 시작 섹터 번호
Last sector : Enter -> 끝 섹터 번호
Command : t -> 파일 시스템 유형 선택
Hex Code : fd -> Linux raid auto detect 유형 번호 ( 여기서 L누르면 전체 유형 출력)
Command : p -> 설정 내용확인
Command : w -> 설정 저장
먼저 /dev/sdb 부터 해주고.!
다음 /dev/sdc 도 해주자.
이렇게 하드디스크 파티션이 모두 만들어졌으면 !
아래 명령어들을 이용해서 잘만들어졌는지 확인을 해보자.
정상적으로 논리적으로 구성된 /dev/sdb1 과 /dev/sdc1 이 생긴것을 볼 수 있을것이다.
다음은 mdadm 명령어를 이용해서 실제 RAID를 구성해보자. 여기서 나오는 md9는 Linear RAID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임시로 만든 이름이다. <이것이 리눅스다, 우재남> 의 예제를 따른 거라 여러분은임 임의로 바꿔도 된다.
RAID 0 은 md0, RAID 1은 md1, RAID 5는 md5 이런식으로 하겠다.
# RAID 생성
mdadm --create /dev/md9 --level=linear --raid-devices=2 /dev/sdb1 /dev/sdc1
# RAID 확인
mdadm --detail --scan
다음은 mkfs.ext4 나 mkfs -t ext4 명령어를 이용해 파일시스템을 생성하자. (포멧을 한다는 의미)
다음은 마운트할 디렉터리를 만들고, 마운트 시킨뒤에 잘 되었는지 확인해보자.
그리고 부팅시에 매번 마운트해주는 건 귀찮으니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설정해주자.
/etc/fstab 맨 아래부분에 아래의 내용을 입력해주면 된다.
이렇게하고 reboot해준 뒤에 확인해보면 끝 !! 이다.
RAID 0, 1, 5 모두 거의 비슷해 설명은 생략하고 진행한 내용만 사진으로 첨부하도록 하겠다.
디스크를 만들고 파티션을 생성하는 작업 등도 생략하도록 하겠다.
RAID 0
RAID 1
RAID5
끝..
참고자료 - 우재남, <이것이 리눅스다>, 한빛미디어(2019)
'Develop >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RAID 6, RAID 1+0, RAID 1+6 구현하기 (0) | 2020.09.08 |
---|---|
[Linux] 리눅스 하드디스크 고장시 대처방법 (1) | 2020.09.04 |
[Linux]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 인 것처럼 사용하기 (feat. RAID) (0) | 2020.09.01 |
[Linux] 리눅스에서 하드디스크 추가하기 (feat. VMWare) (3) | 2020.08.28 |
[Linux] CentOS에서 Root 비밀번호 분실했을 때 (2) | 2020.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