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을 이용해 프로젝트를 프로젝트를 할때 .gitignore 파일을 설정하고 적용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어떤 사람은 Mac에서 어떤사람은 윈도우 에서 또 어떤사람은 이클립스에서 어떤사람은 Intellij 에서 ... 이렇게 각자만의 환경에서 개발을하고 Git 서버 레퍼지토리에 소스를 푸쉬한다.
이때 각자의 환경에 맞게 설정된 내용들은 Git 서버에 올라가서는 안된다. 만약 이러한 내용이 올라간다면 누군가 푸시할때마다 해당 설정바뀌기 때문이다.
이걸 막기 위해 해주는 것이 바로 .gitignore 파일 적용이다.
먼저 .gitignore 파일을 만들어주자.
vi .gitignore
나는 스프링 부트 (maven) 프로젝트를 만들거여서 관련 .gitignore 파일은 아래와 같다.
# Eclipse
.classpath
.project
.settings/
# Intellij
.idea/
*.iml
*.iws
# Mac
.DS_Store
# Maven
log/
target/
다음은 아래의 명령어를 작성해서 원격 저장소에 있는 파일을 일단 강제로 삭제해주자. 이 명령어는 로컬 저장소에 있는건 삭제하지 않는다.
git rm -r --cached .
그리고 add 를 날려주다.
git add .
마지막으로 git status 를 통해 내용을 확인해보면 .gitginore 파일에 등록된건 삭제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반응형
'Develop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 사용 중, fatal: 'origin' does not appear to be a git repository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에러 떴을 때 (0) | 2021.02.12 |
---|---|
[Git] 원격 repository 와 연결하기 (2) | 2020.06.14 |
[Git] rebase를 활용한 Commit 두 개 합치기 (0) | 2020.05.21 |
[Git] git init 취소하기 (0) | 2020.04.05 |
[git] One of your dependencies has a security vulnerability (0) | 2019.10.13 |
댓글